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분실물 찾는 방법 소개
지하철 유실물 증가 배경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 후 방역 수칙이 완화되면서 지하철 탑승 이용객이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분실물도 크게 늘었는데, 서울교통공사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은 12만 7387건에 달하였습니다. 이는 2021년의 10만 1618건과 비교하면 25%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가장 많이 분실되는 물건은?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분실물 중 가장 많이 접수된 물건은 '지갑'이었습니다. 전체 유실물 중에서도 지갑은 3만 1228건(24.5%)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휴대전화(16.5%), 의류(14.4%), 가방(14.2%) 순이었습니다.!
주인에게 돌아간 분실물 현황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 중 63%, 즉 8만 191건이 주인에게 직접 돌아갔습니다. 이는 생각보다 높은 수치로, 주인을 찾지 못한 유실물 중 23%(2만 9618건)는 경찰에게, 나머지 1만 7578건(14%)은 보관 중입니다.~?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 구체적인 방법
분실물을 인지한 경우
"아차! 뒤늦게 알게 된 분실 사실!"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물건을 인지했다면, 분실 위치와 시간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열차 하차 역, 방향, 승하차 위치, 예) 4-2 열차칸, 시간 이 4가지 정보만 알아도 유실물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해당 정보로 고객 안전실에 유실물을 신고하면 금방 찾을 수 있겠죠?^^
분실 위치와 시간을 모를 때
분실 위치와 시간 등 상세 정보를 알고 있으면 좋겠지만, 언제 어디서 잃어버렸는지 모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경찰청 유실물 종합관리시스템에서 습득물 종류와 시간, 습득 지역, 장소 등을 상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인을 기다리는 습득물 현황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어 분실 장소, 시간, 날짜를 알지 못해도 내가 잃어버린 물건이 접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실물 등록 방법
내가 잃어버린 물건이 등록되지 않았다면? 분실물 직접 신고도 가능합니다! 분실물 명과 장소, 날짜 등을 알고 있다면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사이트에 분실물 등록을 해두는 것이 좋겠죠? 유실물 등록 후, 호선별 유실물센터로 인계되고 일주일 간 보관 후 주인을 찾지 못한 분실물은 경찰서로 이관됩니다.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해당 사이트에 내가 분실한 물건이 등록되어 있는지 1차 확인 후, 이용한 지하철 호선, 경찰서로 문의하면 됩니다.~?
유실물 찾기의 추가 팁과 주의사항
lost112를 통해 유실물을 찾았다면?
lost112를 통해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분실물을 찾았다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하고 유실물 센터를 방문해야 합니다. 지하철 및 버스조합 유실물 센터 외에도 경찰 유실물 센터, 전국 경찰관서, 공항 등에서도 유실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선로에 떨어진 물건은?
한 번쯤은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물건을 떨어뜨린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선로에 떨어진 물건은 열차 운행과 승객의 안전을 위해 실시간으로 회수하기 어렵습니다. 선로에 물건을 떨어뜨렸을 경우, 승강장 위치와 물건의 종류를 고객 안전실에 신고하고, 운행시간 종료나 역무원의 안내에 따라 수거 후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유실물 보관 서비스 T-Locker
유실물센터 영업시간 내에 물건을 찾아갈 수 없는 분들을 위한 서비스로, 물품보관함에 유실물을 보관하면 영업시간 이후에도 직접 찾아갈 수 있습니다. 유실자가 보관 비용을 지불하면, 지하철 내 물품 보관함에 유실물을 맡긴 후 물건 주인에게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를 전달해 주는 시스템으로 운영됩니다. 비대면으로 수령할 수 있어 유실물센터 운영 시간 내에 방문하기 어려운 직장인들에게는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마치며
누군가가 잃어버린 물건이 주인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편리한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소중한 물건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유의 깊게 살피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분실물 찾는 방법을 잘 활용하여, 분실물 없는 행복한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